SOC ( self-organized  criticality ) 는  내재적  부하가 증가해서  임계상황에 다다른결과  상황의 변화를 초래하는


물리학적 용어다.  눈사태를 생각하면  어느정도  많은 눈이  경사면에 쌓여있을때  단 한개의  눈입자가  추가된다면


눈사태라는 엄청난  변화가 발생하는데 . 원인이  단한개의 눈입자라기보다  경사면에 쌓인  많은 눈이 가진  부하의


총합이  도미노 현상를  유발할 정도의  임계상황이기에  눈입자 하나가 눈사태를 유발한다.



사회적  불만이 축적된상황에서  폭력적 리더가  출현한다면  폭동으로  진행되고 , 지각판의  에너지 편중이


누적되서  임계상황이  왔을때  작은 충격이  지진으로  진행되는것도 모두 SOC ( self-organized  criticality ) 이다.


cancer  에서  그원인을  SMT(somatic  mutation  theory )  로 보던지  TOFT (tissue organization field theory) 로  보던지간에


어떤 경우에라도  그과정에서  상황의 변화는  SOC ( self-organized  criticality ) 에의해  완성된다고  본다.


SMT(somatic  mutation  theory )   에서는  단위 세포내의 genome  의  변이가  축적되서  임계 상황에 도달할때 


결국  세포 형질의 변환 즉 cancer 로 유도된다.  그런 임계상황에  도달시  인체 대다수의  세포가 그런 임계상황에 


도달하는 노년기에 접어 들때  cancer  가  발생하기 쉬워진다.


또한  TOFT (tissue organization field theory) 에서  cancer 의 발생을  생각할때도


조직 세포간 signals 과  cell  microenvironment  의  변화가  누적되고  부하가 누적되서 임계상황에 도달할때 


세포가  state  를 변화해서  암으로  형질을 변화시키고 DNA 를 변화시켜 cancer  가  되는것이다.


system network 에서  linking density 가 증가해서 일정 수준이상으로  넘어갈때 임계상황에  도달해서


system state 의  변화를  생각하게된다.


따라서  cancer 의 발생을  간단히  carcinogen 하나가 만들어내는  현상이라기보다  오랜 누적과  부하가  누적된


결과라고 보아야 합당하고  cancer 의 치료에 있어서도  오랜  factor 의 누적을  통해서  state 의 변화를 통해


cancer 를  normalization 하는  방식을  취해야한다. 간단히  치료한다는 발상이  잘못이다.


어떤  system  도    critical  state 와  silent   state  의  변환이 자동적으로  발생한다.


https://www.ncbi.nlm.nih.gov/pmc/articles/PMC3855256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