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호황인  키트루다, 옵디보 는  항 PD-1  antibody  다.


종양이  지닌  PD-L1  이  effector  T  cell  의  PD-1 과 결합할때   effector  T  cell  이  종양을 인식하지  못하기에


effector  T  cell  의   PD-1   을 선점하므로써  종양을  인식하고 공격 사멸시킨다는 약리다.


이건  제약회사에서  발표하는  약리작용인데  좀 달리 해설할 필요가 있다.


in vitro 에서  사멸하는 종양세포를 보면  당연히 그렇게  추증하는게 맞다.



그러나 .다른 약리 추증도 가능하다.


인간 만성  HIV 감염인경우에  그리고  LMCV(  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 ) 감염 mice  에대한 


antibody로  PD-1  signaling  pathway  를 차단할경우  항원특이적  T cell  cytokine  분비를 복구하고 


T cell  proliferation 을 복구한다는 실험이 있다.


또한  Lichterfeld  et  al  등은  최근연구에서  HIV 환자에게서  PD-1 /PD-L1  pathway   를 차단하는게  HIV-1-specific CD 8 T  cell 의


telomere  length  와  telomerase  activity   를 증가시킨다는걸  발견했다.


또한   많은 항원 virus 에  노출이 많을경우  effector  T  cell  이  cytokine 분비가  줄고  증식도 줄어들어서 결국엔


apoptosis 상태로 빠지는데   이런  T cell  exhaustion 상태의  T cell  의   기능 을  PD-1 anti-body 가 복구 시켜준다는


 의미에서의   약리작용을  생각할수 있다.


( T cell  exhaustion 의   identification feature  는   surface  CD28 과 PD-1 의 증가를  기준으로 삼는다)


immunosenescence 상태나  exhaustion 상태의  T cell  를  restore  하는 효과다.


그러기에  투약기간이 2주나 3주간격으로  주사를 놓는데 이건  T effector  cell  의  clonal  expansion 이 보통 2주에  종료하기


때문에  주사 투여  기간을  2,3 주간격으로 한다는  것이 합리적이다.


종양항원에의  오랜 노출에대해  T effector  cell  이  immunosenescence  상태나 exhaustion 상태에 빠진다는건  쉽게  추증이


가능하고  이런  상태의  T cell  을   restore  하는  효과가 PD-1 anti-body   제제인


요즘 유행하는  키트루다, 옵디보라고 생각된다.


오랜 기간의  종양항원에  대해  immunosenescence 상태나  exhaustion  상태에서  키트루다나 옵디보가 유효한걸 본다면


반드시 2,3 주 간격이  아니래도 T cell 을 restore 할  능력이  있기에  몇달에  한번씩 주사를 맞아도 효과가 있다고 할수 있다.


단, 유효성면에서 mass 를  감소시키는  효과면에서  효율성이  차이가 날뿐이다.